AWS INDUSTRY WEEK 2023 후기
🟦강연 도중 사진을 찍어서 사진들이 파랗습니다.(무음으로 찍음) 미리 죄송합니다 😥 🟦
- 이번주에 코엑스에서 열린 AWS Industry week에 다녀왔습니다.
다녀온 후 든 생각은 아직도 갈길이 멀고 공부할게 많구나 느꼈고 새로 안 것들을 우리 회사에 서비스에 녹여갈 생각에 약간 신나기도 했습니다.(과연 할 수 있을까?)
많이 언급됐던 키워드들(😏내 귀가 먼저 반응한 내가 듣고싶었던 키워드들일수도 ?!)
생성형AI
,애자일,민첩성
,데브옵스
,조직,개발 문화
,목적별DB
,클라우드
,DDD
,람다, 서버리스
- 적어두고 한눈에 보니 뭔가 서로 연관되는듯 하다.
내가 들은 강연들
- 이번 세미나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들의 강연이 있었는데, 다음의 강연들을 들었습니다. 선택한 기준은 회사에서 서비스를 운영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만한 강연들을 기준으로 선택 했습니다.
강연 별 키워드,발표자,후기 등
제가 생각한 강연들의 발표자와 관련 키워드 입니다.
1. 오프닝
발표자
: 함기호 대표이사(AWS Korea)키워드
: 세미나,AWS 소개 및 오프닝
2. 키노트
발표자
: Olivier Klein(Chief Technologist, AWS)키워드
: AWS의 방향과 생성형AI에 대한 자세(?) 및 사용사례, 전략 및 신규 서비스bedrock
(생성형 AI)소
AWS의 생성형 AI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들
AWS 대표님이 항상 말한다는 AWS Flywheel
- 고객 경험을 개선하면 성장하는데 AWS가 실선부분을 해결할 수 있어 더 좋은 고객경험을 기반으로 기업이 성장하게 해준댔나?
3. 리테일의 미래 - 산업을 주도하는 기술 트렌드 (레벨 100)
발표자
: 최인영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 매니저(AWS)키워드
:생성형AI
와ML
,컴포저블 커머스
(온라인),몰입형 커머스
(가상),컴퓨터비전과 센서
(오프라인)
생성형 AI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AWS의 환경
- amazon bedrock : 다양한 기초모델(Foundation Model) 제공 및 API를 통한 사용
- FM : 이미 AI를 학습시켜놓은거를 말함(메타 등등.. 다양한 업체에서 학습시켜놓은 모델을 가지고있음 )
- amazon segeMaker jumpstart : 사전학습된 기초 모델과 파인튜닝, 다양한 ML솔루션이 포함된 기계학습(ML)허브
- Amazon CodeWhisperer : 코파일럿같은 개발자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생성형 AI를 말하는듯
컴포저블 커머스
- 헤드리스 커머스의 다음단계 ?
- 모든 컴포넌트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교체가 가능함.
- 특징 : 모듈식 구조 / API 중심 / 확장성 / 최적 제품
3.5 점심시간
- 선착순으로 점심 식사 쿠폰을 나눠줬다.
4. 천만 유저 “올영세일”을 위한 eCommerce 현대화 사례 (레벨 200)
발표자
: 송준호 팀장 (CJ 올리브영) ,명기현 솔루션즈 아키텍트(AWS)키워드
:DDD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목적별 DB
아키텍처 개선 원칙 수립
- 서비스 단위 애플리케이션 리팩토링
- 클라우드 IT 기반 민첩성 확보 - 유동적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함
- 모니터링 고도화로 개선된 쇼핑 경험 제공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 특징 : 비동기성 , 느슨한 결합, 이벤트 스트림, 확장성
목적별 DB 분리
-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DB를 선택해서 활용하는 전략
서비스 개선을 통한 매출 증가 사례(서비스 단위 리팩토링)
- 개선을 통해 고객 이탈률 감소 및 구매율 상승 (기존 메인에서 병목이 발생했음)
- 예시로 든 것은 쿠폰 서비스로, 성능 병목구간을 비동기로 처리하였음.(기존 : 메인DB까지 동기방식.. 우리회사에서 현재 사용하는 방식)
모니터링은 DataDog를 사용해 일원화 함
- aws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모든것을 datadog로 모니터링
5. 달리는 자동차의 바퀴를 교체해 보자! New TVING Phase 1 (레벨 200)
발표자
: 박철우 클라우드 엔지니어(TVING), 송길주 백엔드 개발 엔지니어(TVING), 서보현 시니어 어카운트 매니저(AWS)키워드
:온프렘->클라우드
,BFF패턴을 통한 효율적인 통신(?)
아키텍처
6. 샛별 배송 컬리, 완전 관리형 데이터베이스로 빠르고 안전한 결제 서비스 구축기 (레벨 200)
발표자
: 양재호 데브옵스그룹 엔지니어(컬리페이),전유성 솔루션즈 아키텍트(AWS)키워드
:데이터 중심
, ,스쿼드 단위의 작은 조직 구조
,민첩성(애자일)
,목적별 DB
페이먼트의 주요 트랜드
- 치열한 경쟁 / 글로벌 고객 기반에 접근 / 결제 정보 저장 / 구독 및 반복구매 수익
- 페이먼트 구축 시 효과 : 수수료절감, 락인효과, 데이터 분석 가능
- 수수료 절감 : 페이먼트 업체나 PG사에 지불되는 수수료 절감
- 락인효과 : 재구매 가능성을 높히는 락인 효과
- 데이터 분석 : 소비자 구매 패턴등을 수집해서 분석 가능.
데이터 중심의 컬리페이 아키텍처
- 이벤트를 감지해서 카프카에서 각 프로덕트에서 사용 (A 프로덕트(ex카드사용)가 사용될 때 마다 B프로덕트(ex포인트적립) 으로 API를 요청하거나 A DB의 데이터를 B DB로 통째로 옮기지 않고, 비동기 방식으로 카드사용 이벤트를 감지해서 카프카를 통해 사용한다는 뜻인듯 한데 잘 모르겠다. )
목적별 DB 포트폴리오. 이럴 땐 이 DB를 사용하자!
7. 미디어 무한 경쟁의 시대, LG U+의 AWS 기반 IPTV 및 미디어 플랫폼의 비즈니스 가속화 전략 (레벨 200)
발표자
: 오형석 PM(LG U+),김용선 선임(LG U+),송대원 상무(LG U+),양시명 솔루션즈 아키텍트(AWS)키워드
:MSA
,클라우드
,DevOps
,작업 추상화
LG U+ 유플러스의 당면 과제 (Lg u+의 현대화 전략)
- cloud : 인프라 구축 신속성과 확장성 확보
- 하이브리드 운영이 가능한 안정적 인프라 환경(일부 클라우드 일부 온프렘)
- 기존 오라클DB - 오로라 DB 데이터 동기화 파이프라인 생성
- 말은 간단해 보이지만 긴 안정화 기간을 거쳤다고 함.(우리도 뭐..)
- AWS 매니지드 서비스를 우선 활용 : 개발팀의 기술스택 내재화냐 (k8s,db,보안솔루션 등 구축부터 운영까지 다 신경쓸꺼냐)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꺼냐의 문제
- msa : msa구조로 개발 생산성 개선
- 분리 대상을 선정 (중요하고 빈번한 변경이 있는
모듈
선정) DDD
기반으로 의존성을 줄임- 빅뱅이 아닌 소규모 단위의 점진적 전환 (절대 빅뱅 방식은 하지 마라 , 장애 이펙트도 크고 장애 발생 시 보완해야 할 것들이 너무 많아 오히려 기술 부채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함. 어느정도 동의하긴하는데 ..)
- 분리 대상을 선정 (중요하고 빈번한 변경이 있는
- devops : 개발 문화 혁신과 생산성 향상
- 개발인력구조 변화 (외주 > 직접 개발) : 지속적인
코드리뷰 필수
- 개발,검증,운영을 통합한 조직 구조
애자일
개발 문화 : 폭포수 개발 프로세스에서스프린트
로
- 개발인력구조 변화 (외주 > 직접 개발) : 지속적인
여러 OTT를 통합하는 통합 VOD를 만들기 위해(IPTV 미디어 플랫폼 서버리스 기반 현대화 사례)
- 각기 다른 OTT의 데이터를 작업 추상화(ETL같은 느낌)
- AWS step functions workflow : 단계별로 프로세스를 지정해서 그 단계에 맞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잡패스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듯)
8. 글로벌 K-POP 시대 끊김 없는 ‘K팝 덕질’을 위하여, 위버스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사례 (레벨 200)
발표자
: 강산하, DevOps팀 (Weverse Company), 이주현, 팬이벤트개발팀 (Weverse Company),
정윤지 어카운트 매니저(AWS)키워드
:AWS 람다 ,프로비저닝
,AWS SQS
AWS 람다를 통해 스파이크성 트래픽에 대응하는 법
- 서버증설 : 람다 프로비저닝
- DB작업 : 큐를 통해 DB작업을 할 수 있게 구현(amazon sqs) .. 이를 통해 DB가 한번도 부하를 받지 않았다고 함.
AWS INDUSTRY WEEK 후기
- 😋먼저
기술에 대해서
생각해보면생성형 AI
가 진짜 엄청난 대세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2023년의 트랜드를 이끄는 7개 기업(애플,MS,앤디비아,아마존,메타,테슬라,알파벳)이 모두 생성형 AI 기술에 뛰어들었다는게 굉장히 이례적이라고 말씀하셨어요. 저도 개발할 때 chatGPT를 이용하는데(이미 더 좋은 기술들이 많이 나왔지만 .. 폐쇄망이라 쓸 수 있는게 한정되어 있음) 진짜 쓸때마다 대박이다 생각하거든요. 기술의 발전이 두렵습니다만 생성형AI가 뉴 노멀이 될 것 같아 얼른 올라타야겠네요.~ - 😋
당장 써먹자 하는것들은 뭐가 있었냐 하면..
여러 기업에서 AWS의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해서 시스템을 현대화 하고 혁신한 다양한 사례들을 만날 수 있었는데, 이런 다양한 현대화 사례강연을 들으면서 이후에 우리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들을 이런식으로 고도화 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기분은 어떻냐면
모처럼 유익한 세미나에 다녀온 것 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그리고 또 나도 언젠간 저 강당에 서보고싶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 마지막으로 다시보기는 언제 올라오려나요. 다른 강연들도 듣고 싶어서 매일매일 구글링 하고 있는데 안올라오네요 ㅠㅠ
- 😁상품을 한아름 받은것도 자랑
다른 재미있는 글들도 한번 보고 가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