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과제로 제출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것입니다.
오늘은 사물인터넷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사물인터넷의 정의
사물인터넷(IoT)란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사물(Things)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쉽게말해서 사람의 개입없이 사물이 다른사물과 정보를 주고받고 소통하는것을 말해요.
■ 사물인터넷의 발전과정
- 사물인터넷이란 용어는 1999년에 P&G사의 케빈 에쉬튼이 “*RFID 및 기타 센서를 일상생활 속 사물에 탑재함으로써 사물 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최초로 사용되었다.
- 05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처음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보고서를 발간했다.
- 이후 사물인터넷 산업은 단말, 네트워크 중심의 회선사업에서 솔루션 사업으로 진화중이다.
- 기술발전에 따라 보급이 확산되며 사물인터넷의 영향력은 산업 전 분야부터 일상생활까지 광범위하게 확대되었다.
* RFID : 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 사물인터넷의 주요 기술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 3가지로 구분되며 보안기술 또한 중요하다.
- 센싱기술 : 사물이나 장소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사물 인터넷의 핵심기술
-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서비스 형태에 맞게 가공하거나 각종 기술을 융합하는 기술
-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대표적인예 : 와이파이, 3G,4G, 블루투스, 이더넷 등)
■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현황
- 주요국 정부는 이를 경쟁력 확보의 수단으로 인식해 주요 정책으로 주력하고 있다.
(1) 국외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 동향
EU와 중국 정부가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이 가장 활발한 국가이며 미국의 경우 사물 인터넷에 집중한 정책은 아직 추진되고 있지 않다.(하지만 관련된 다른연구를 하고 있음)
(2) 국내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 동향
방통위는 2009년 10월 ‘사물통신 기반 구축 기본계획’ 수립하며 사물인터넷 관련 정책 추진에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2010년 5월 ‘10대 방송통신 미래 서비스’에 사물인터넷을 포함하고 2015년도까지의 목표 및 향후 전개 방향을 구체화했다.
■ 사물인터넷의 시장현황
사물인터넷의 *밸류 체인은 칩 벤더 - 모듈 및 단말 벤더 - 플랫폼 사업자 - 네트워크 사업자로 구성된다. 사물인터넷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영역의 전문 업체들 간의 협업이 필수시 된다.
*밸류 체인 :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의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 사물인터넷의 시장전망
매 년 첨단 유망 기술에 대한 전망을
발표하는 가트너는 2011년부터 ‘하이프 사이클’에 사물 인터넷을 포함시키고 향후 5~10년 사이에 주류 기술로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명기 : 기술 발생 단계)
■ 사물인터넷의 적용분야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헬스케어, 홈케어, 자동차, 산업, 교통, 건설, 농업, 환경, 엔터테인먼트, 에너지, 안전, 식품등이 대표적인데 헬스케어는 현재 사물인터넷중 가장 활발하게 이용하는 분야이다.
■ 사물인터넷의 장단점
주관적인 생각인데 사물인터넷이 발전한다면 우선 편리해질것이다. 하지만 개인정보유출에대한 문제와 인터넷이 먹통됐을때의 문제. 해킹의 문제등이 있을것이다.
출처 &참고
中, 산시성 사물 간 인터넷(IOT)산업 동향
KISA 인터넷 & 시큐리티 이슈 (2012년 9월)
Net Term 사물인터넷
IT 정보기술 (http://i-bada.blogspot.kr/)
ICT 기획시리즈 -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및 시장성 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기술동향 (2014년 2월)
티스토리 블로그 (http://fishpoint.tistory.com/1122)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joojinwon?redirect=log&logno=100107071629)
한국경제 -[Iot, 세상을 바꾼다]
디지털 타임스 - [알아봅시다] IP-USN
코메디닷컴 뉴스 - [병원 안가도 의사 만나는 U-헬스 시대 온다]
2020년쯔음엔 사물인터넷이 상용화(?)될거라고 예상하는데 참 기대됩니다.. 영화에서나 보던 삶이 진짜 이렇게 일찍 나타날까요? 이상으로 사물인터넷의 포스팅을 마칩니다.